'웹/JavaScript' 카테고리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웹/JavaScript

(16)
자바스크립트(JavaScript) 변수 범위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놀이방 사장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자바스크립트의 범위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위에 이미지에 나오는 변수는 내부변수로 선언된 함수안에서만 사용되어야 한다. 블록 범위란?? 위에 이미지에서 나오듯이 var를 쓰면 전역변수처럼 취급하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let을 사용하도록 합시다! 렉시컬 범위란?? 변수의 범위는 기본적이지만 알고가야하는 부분입니다!
자바스크립트 함수 알아보기 오늘은 자바스크립트의 기본적인 함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함수의 필요성! 1. 코드의 중복을 줄이고 재사용이 가능 2 .코드의 가독성도 높인다. => 정말 많은 곳에서 사용된다. 함수 인수란? 인수 = 함수의 입력값 실제로 들어가는 값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모든 메서드는 함수라고 생각하면 된다! 인수를 여러개 줄 때 주의 할 점 function 인수들 끼리 순서가 맞아야 합니다. 만약 맞지 않을 경우 이상한 곳에 인수가 들어가서 값이 달라 질 수 있어요 함수에서 return 키워드 이상으로 함수 포스팅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JavaScript(자바스크립트) 반복문 - for_of , for_in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놀이방 사장님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자바스크립트 반복문 for_of, for_in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for_of입니다. 위에 코드를 사용하면 1,2,3,4,5 순서대로 console창에 찍힌다. 문자열에서도 사용가능하다. 이번에는 for_in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객체를 반복 시킬 때 사용합니다. 이상으로 for_of, for_in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자바스크립트 반복문 while문, break 자바스크립트 while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while문도 반복문에 일정입니다. while(조건식){ ~~~~~ } 예시) break키워드 반복문에서 사용되지만 while문에서 많이 사용된다. break; 문을 만나면 반복문을 벗어난다. 예시)
JavaScript(자바스크립트) FOR 문 , 무한루프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자바스크립트 반복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For 무한루프 계속 반복하는 반복문 자바스크립트의 메모리가 다 차지될 때 동안 계속 돌아간다. 무한루프는 좋지 못하기 떄문에 사용하지 않기 무한루프가 생기는 이유는 종료조건이 걸리지 않을 때 발생 배열루프 중첩루프 이상으로 자바스크립트 FOR문 , 무한루프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JavaScript(자바스크립트) 객체리터럴(객체)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자바스크립트 객체리터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객체란? 여러 데이터 구조를 저장한다. 키-값 쌍 또는 프로퍼티를 이용하여 정보를 구성 레이블과 같은 키와 값으로 구성 객체는 이쌍의 집합이다. 위에 포스팅제목에 객체 리터럴이라고 하는 이유는 자바스크립트에서는 객체라는 의미를 다양하게 사용하기 때문이다. 객체 생성방법 객체에서 데이터 가져오기 객체에서 데이터 수정하기 객체에서 배열과 객체 리터럴 구하기
자바스크립트 자주 사용하는 배열 메소드들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자바스크립트 배열 메소드들 중 자주 사용하는 메소드들을 정리해볼려고 합니다. 여러분들도 필요할 때 마다 보고 사용하세요 concat 2개를 합쳐서 새로운 문자열을 만든다. includes 배열에 해당하는 값이 포함되어 있는 지 확인하는 메소드이다. boolean 타입으로 결과를 반환 => true / false indexOf 해당하는 값의 인덱스 번호를 알려주는 메소드이다. reverse 배열의 값들을 뒤집어 준다. 파괴적 메소드이다. => 기존의 값들을 다 파괴해버리기 때문에 slice 배열의 일부를 복사하는 메소드이다. splice slice 보다 기능이 좀 더 많아졌다. sort 배열의 값들을 정렬해주는 메소드 이상으로 자주사용하는 자바스크립트 배열메소드에 대해 알아보았..
자바스크립트 배열 데이터 추가, 삭제하는 메소드(push, pop, shift,unshift)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정말 오랜만에 포스팅이네요 이번 포스팅은 자바스크립트 배열 메소드중 데이터들을 처리하는 메소드 4가지를 배워보겠습니다. PUSH 첫번째로는 배열 맨뒤에 데이터를 삽입하는 PUSH()입니다. movie배열에 영웅이라는 값을 인덱스 맨 뒤에 추가해주는 메소드입니다. pop() 배열에 맨뒤 데이터를 삭제하는 메소드입니다. 위에 영웅이라는 데이터를 넣은 경우 movie배열에 pop를 해주면 영웅이라는 데이터는 사라집니다. shift() 배열에 제일 첫번째 값이 빠집니다.(삭제) pop랑 반대 unshift() 배열에 제일 첫번째 값이 추가됩니다. 강의 때 shift와 unshift의 개념이 잘 헷갈린다고 해요 저도 두개는 헷갈려서 사용할 때 마다 찾아볼려고 정리해둘 겸 포스팅이 적어봤습니다!
자바스크립트 배열에 대해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자바스크립트 배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배열에 대해 설명하자면 배열은 값의 집합입니다. 값의 순서가 있습니다. => 순서 = 인덱스 ypeof (colors) →object로 나온다. 베열에는 true, undefinde , NaN , 12, 1.9999 여러가지 데이터 타입이 들어가도 가능하다. 문자열에 []인덱스의 값을 변경하면 적용되지 않지만 배열에 [인덱스번호]를 넣으면 값이 변경된다. → 타입도 변경되고 값도 변경된다. 만약 color = [red] color[10] = [”yellow”] 이러면 인덱스 1~9는 empty가 된다.
자바스크립트 SWITCH문 이번 포스팅에서는 자바스크립트 SWITCH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바스크립에는 여러 반복문들이 있습니다. 스위치는 문은 반복문중 활용도와 중요도가 가장 떨어진다고 합니다. 그래도 현업에서 볼 수도 있기 때문에 알아두게 좋습니다. 외울 필요까지는 없고 대충 뭐다 정도면 알면 된다고 하네요 저도 여기 정리해두고 필요할 때 마다 와서 봐야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