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놀이방 사장입니다.
스프링 부트 3 요청-응답 이해하기 포스팅입니다.
먼저 디렉터리에
JS, CSS, 이미지 같이 정적 파일을 넣어 둘 static디렉터리를 만들어줍니다.
그리고 application.yml파일 생성하여 스프링 부트를 설정하는 파일을 생성해줍니다.
의존성을 추가해줍니다.
인메모리 h2 추가
반복메서드 작업을 줄여주는 롬복 라이브러리 추가
컨트롤러 추가
비즈니스 계층 코드 추가
MemberRepository 빈 추가
findAll을 호출하여 멤버 테이블에 있는 데이터 가져오기
퍼시스턴트 계층 코드 작성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객체인 DAO객체 생성
매핑 작업을 위한 인터페이스 파일 작성
애플리케이션에 저장할 더미 데이터 넣을 SQL 파일 생성
import 파일 생성
포스트맨이나 local서버를 통해 확인
데이터가 제대로 불러 온 것을 확인한다.
요약
프레젠테이션 (Controler)에서 HTTP요청을 받고 비즈니스 계층으로 전송
비즈니스 계층(Service)에서 모든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한다.
퍼시스턴스 계층은 모든 스토리지 관련 로직 처리
데이터 베이스에 접근하기 위한 객체 DAO를 사용할 수 있음
반응형
'웹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데이터베이스와 ORM알아보기 (0) | 2023.10.04 |
---|---|
스프링부트 3 테스트 코드 공부 - JUnit과 assertJ (0) | 2023.09.29 |
Spring Boot 자주 사용하는 스타터 모음 (0) | 2023.09.19 |
Spring Boot3(스프링부트3) 간단한 예제 (0) | 2023.09.19 |
스프링과 스프링 부트 알아보기 (0) | 2023.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