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Flutter
플러터(Flutter) - 머터리얼 디자인은 무엇인가?
놀이방사장님
2024. 2. 13. 23:21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놀이방 사장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플러터의
"머터리얼 디자인"에 대해 알아보겟습니다.
정의
2014년도 부터 구글에서 사용한 플랫 디자인 지침이다.
사용 이유
머터리얼 디자인이 나오기 전까지는 앱마다 디자인이 달랐음
앱마다 디자인이 달랐기 때문에 앱 개발사별로 추구하는 디자인 철학과 설계 방식에 따라 아이콘이나 버튼을 만들었음
그래서 개성은 있으나 통일되지 않은 UX(uesr experience, 사용자 경험)을 주었다.
사용자들은 앱을 사용하는데 시간이 들었음
=> 표준화된 UI가 없기 때문
또한 과도한 이미지 사용으로 앱 크기가 커져 기기의 용량을 차지하는 문제도 발생
머터리얼 디자인 도입 후
따라서 구글은 안드로이드 롤리팝 버전부터 머티리얼 디자인지침을 제시했다.
지금까지 수많은 앱들은 머티리얼 디자인 지침에 따라 만들어졌다.
머티리얼 디자인을 적용하면 평면, 단색 위주의 간결한 디자인을 바탕으로 앱의 용량을 줄이고 동시에 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 안드로이드 앱 사용자는 머티리얼 디자인 덕분에 직관적이고 일관된 UI를 경험할 수 있게 되었다.
머터리얼 디자인 사용법
머터리얼 디자인을 사용할려면 스캐폴드(Scaffold) 클래스를 이용해야한다.
스캐폴드는 각종 위젯을 머티리얼 디자인 레이아웃으로 설게하는 것을 돕는 역할이다.
머터리얼 디자인에 대해서는 이정도까지 알아보고 다음 포스팅에서 스캐폴드를 이용해 실습을 진행해보겠습니다.
반응형